로랑데지레 카빌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랑데지레 카빌라는 벨기에령 콩고에서 태어난 콩고의 정치인으로,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1960년대 초 콩고 위기 당시 파트리스 루뭄바를 지지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체 게바라와 함께 혁명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1967년에는 콩고 인민혁명당을 결성하여 마르크스주의 국가 건설을 시도했다. 1996년에는 제1차 콩고 내전을 통해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을 축출하고 대통령에 취임했으나, 재임 기간 중 우간다, 르완다 등 주변국과의 갈등을 겪었다. 2001년 암살당했으며, 그의 아들 조제프 카빌라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살인 사건 - 타이항공 114편 폭발 사고
타이항공 114편 폭발 사고는 엔진 시동 전 폭발과 폭파된 항공기 잔해에서 발견된 폭발물질로 인해 암살 시도 주장이 제기되었다.
로랑데지레 카빌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랑데지레 카빌라 |
로마자 표기 | Laurent-Désiré Kabila |
출생일 | 1939년 11월 27일 |
출생지 | 벨기에령 콩고 보두앵빌 또는 자도빌 |
사망일 | 2001년 1월 16일 |
사망지 | 킨샤사, 콩고 민주 공화국 |
사망 원인 | 암살 |
국적 | 콩고 민주 공화국 |
직업 | 반군 지도자, 대통령 |
배우자 | 시파 마하냐 |
자녀 | 최소 9명 또는 10명 (조제프 카빌라, 자이네트 카빌라, 조에 카빌라 포함) |
정치 | |
직위 | 제3대 콩고 민주 공화국 대통령 |
임기 시작 | 1997년 5월 17일 |
임기 종료 | 2001년 1월 16일 |
이전 대통령 | 모부투 세세 세코 (자이르 대통령) |
다음 대통령 | 조제프 카빌라 |
정당 | 인민혁명당 (1967–1996) 콩고 해방 민주 세력 연합 (1996–1997) 무소속 (1997–2001) |
소속 | 콩고 민주 공화국 |
교육 | |
모교 | 다르에스살람 대학교 |
군사 활동 | |
전투 | 콩고 위기 심바 반란 제1차 콩고 전쟁 |
종교 | 이슬람교 |
기타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로랑데지레 카빌라는 벨기에령 콩고 카탕가 주에서 루바족 아버지와 룬다족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5] 프랑스와 탄자니아에서 유학하며 정치철학을 공부했다. 카빌라는 루바족 출신으로, 카탕가 주 보두앵빌(현재 모바, 탕가니카 주) 또는 리카시(현재 상카탕가 주)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그의 아버지는 루바족, 어머니는 룬다족이었다. 부계 중심의 친족 제도에서 아버지의 민족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파리에서 정치철학을 전공하고, 타슈켄트, 베오그라드, 다르에스살람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를 증명하는 자료는 발견되거나 제시되지 않았다.[6] 다르에스살람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60년 콩고가 벨기에에게 독립한 이후, 콩고 위기가 시작되었다. 카빌라는 파트리스 루뭄바를 지지하는 카탕가 루바인 협회 (발루바카트) 청년단의 부사령관으로, 모이즈 촘베의 카탕가 분리 독립 시도에 맞서 싸웠다.[21] 루뭄바가 조제프 모부투에게 축출된 후, 카빌라는 북부 카탕가에서 페르디낭 툼바 정권의 정보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루뭄바주의 조직 "Prosper Mwamba Ilunga"를 결성하기도 했다.[29]
3. 초기 정치 활동: 콩고 위기 (1960-1967)
1965년 카빌라는 탕가니카 호수 건너편 탄자니아의 키고마에서 월경 작전을 개시했다.[29] 이후 체 게바라와의 협력은 실패로 돌아갔고, 카빌라는 탕가니카 호수에서 금과 목재 밀수를 시작했으며, 탄자니아 키고마에서 술집과 매춘업소를 운영했다는 기록이 있다.[9][10]
3. 1. 체 게바라와의 관계
1965년 쿠바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콩고가 혁명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쿠바 방식의 혁명을 계획하고, 1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콩고에 나타나 단기간 카빌라를 지원했다.[30] 당시 26세였던 카빌라는 게바라의 입장에서 볼 때 술과 여자만을 탐내는, "시대의 인물"이 아니었다.[8] 카빌라와 게바라의 협력 관계는 성립하지 않았고, 혁명은 그 해 안에 진압되었다.[30] 게바라는 카빌라가 "혁명적 진지함"이 부족하다고 비난했다.[8]
4. 인민혁명당(PRP)과 마르크스주의 미니 국가 (1967-1988)
1967년 카빌라와 그의 지지자들은 활동 장소를 남키부주의 피지-바라카 산악 지대로 옮겨 (콩고)인민혁명당(PRP)을 창설하였다.[31]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은 PRP는 탕가니카호 서쪽의 남키부에 마르크스주의 분리주의 국가를 설립하였다.[31] 이 국가는 집단농장 운영, 강압, 광물 밀수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24]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전반, 카빌라는 상당한 부를 축적했으며, 다르에스살람과 캄팔라에 집을 소유했다.[31] 캄팔라에서 카빌라는 훗날 우간다의 대통령이 되는 요웨리 무세베니와 만났다고 전해진다.[31] 무세베니와 탄자니아 대통령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훗날 르완다의 대통령이 되는 폴 카가메를 카빌라에게 소개하였다.[31] 이러한 만남은 훗날 제1차 콩고 내전에 르완다와 우간다가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31]
1988년, PRP 국가는 소멸하고 카빌라는 종적을 감추었으며, 널리 사망한 것으로 여겨졌다.[11]
5. 콩고 내전과 대통령 취임 (1996-1997)
1996년 10월, 카빌라는 후투족 군대를 쫓아 투치족 군대를 이끌고 콩고로 돌아와 제1차 콩고 내전을 시작했다.[32] 부룬디, 우간다, 르완다 투치족 정권의 지원을 받아, 카빌라는 콩고자이르 해방 민주군 연합(AFDL)을 이끌고 모부투 정권에 맞서 전면전을 개시했다. 1997년 중반, 콩고자이르 해방 민주군 연합은 콩고 전역을 장악했고, 모부투는 해외로 망명했다.
1997년 5월 17일, 카빌라는 루붐바시에서 승리를 선언하고 대통령에 취임했다. 그는 헌법을 정지시키고 국명을 자이르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했다.[33] 5월 20일 킨샤사에 입성, 5월 31일 대통령 취임 선서를 했다.
6. 대통령 재임 (1997-2001)
카빌라는 제1차 콩고 내전이 시작된 1996년 10월, 후투족 세력을 몰아내고 투치족 군대를 이끌고 콩고로 돌아왔다. 부룬디, 우간다, 르완다의 투치족 정권의 지원을 받아 콩고-자이르 해방 민주군 연합 (AFDL)을 이끌고 전면적인 반란을 시작했다. 1997년 중반까지 "수만 명의 시민"의 희생을 치르면서 카빌라가 승리하였고, 1997년 5월 평화 협상 실패로 모부투 세세 세코는 해외로 망명했다. 5월 17일 루붐바시에서 승리 선언을 하고, 헌법을 정지시키고 국호를 자이르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바꾸었다.[33] 5월 20일 킨샤사에 입성할 때 사실상 종신 대통령에 취임했다.
카빌라는 마르크스주의자였지만, 당시 정책은 자본주의와 집단주의가 혼합된 형태였다. 서방 일각에서는 카빌라를 신세대 아프리카 지도자로 평가하며, 그의 정책이 전임자의 권위주의, 부패, 인권 침해와 다르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카빌라는 모부투 정권의 정보 장관 도미니크 사콤비 이농고의 조언으로 개인 숭배를 조장했기 때문에 자기 과시욕이 강하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또 다른 모부투"라고도 불렸다.[14]
1998년, 카빌라의 전 동맹국이었던 우간다와 르완다는 그에게 등을 돌리고 새로운 반정부 세력 콩고 민주 연합(RCD)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후 전개 상황은 #제2차 콩고 내전 참고.)
6. 1. 제2차 콩고 내전
1998년 카빌라의 이전 동맹이었던 우간다와 르완다는 그에게 등을 돌리고 새로운 반정부 세력인 콩고 민주 연합(RCD)을 지원하기 시작했다.[27] 카빌라는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에 군사 개입을 요청했고, 짐바브웨, 나미비아, 앙골라와 동맹을 맺고 콩고 민주 공화국 제2차 전쟁을 치르면서 남부와 서부를 유지했다. (북부는 우간다, 동부는 르완다가 지배했다.)1999년 7월 평화 협상에서 외국군 철수에 합의했다.[14]
7. 암살 (2001)
2001년 1월 16일 오후, 로랑데지레 카빌라는 마르브 궁전 집무실에서 경호원 라시디 카세레카에게 총격을 당했다.[15] 카세레카는 현장에서 사살되었고, 카빌라는 치료를 위해 짐바브웨로 이송되었으나 1월 18일에 사망했다.[16]
카빌라의 시신은 일주일 후 콩고민주공화국으로 송환되어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10일 뒤 그의 아들 조제프 카빌라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17]
7. 1. 암살 재판
특별 군사 법정은 로랑데지레 카빌라 암살 사건으로 135명을 기소했다. 이 가운데 카빌라의 사촌인 에디 카펜드 대령을 포함한 26명에게 사형이 선고되었다.[18] 64명은 6개월에서 종신형에 이르는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45명은 무죄로 석방되었다.[18]2021년, 펠릭스 치세케디 대통령은 카빌라 암살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을 모두 사면했다.[20]
8. 유산
모부투 세세 세코의 독재 정권에 맞서 승리한 로랑데지레 카빌라는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그의 통치 방식은 권위주의적이었고, 부패 문제 역시 해결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33] 특히 카빌라는 개인 숭배를 준비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33]
카빌라의 갑작스러운 암살과 아들 조제프 카빌라로의 권력 승계는 콩고민주공화국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을 보여준다. 카빌라 암살 사건의 진실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며, 암살 배후와 책임자 처벌 문제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15] 암살 주모자로 지목된 에디 카펜드 대령과 다른 25명은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집행되지 않았고, 2021년 1월 펠릭스 치세케디 콩고민주공화국 대통령은 카빌라 살해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모든 사람을 사면했다.[20]
르완다와 우간다 등 주변국과의 갈등은 카빌라 정권 시절부터 계속되어 콩고민주공화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11]
참조
[1]
서적
Defense & Foreign Affairs Handbook
https://books.google[...]
Perth Corporation
[2]
웹사이트
Murder in Kinshasa: who killed Laurent Désiré Kabila?
https://www.africabi[...]
2011
[3]
웹사이트
IRIN – In Depth Reports
http://www.irinnews.[...]
2016-05-25
[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Modern World Leaders
[5]
서적
Essai biographique sur Laurent Désiré Kabila: Cahiers 57-58-59
https://books.google[...]
Editions L'Harmattan
2003-10-01
[6]
뉴스
L'obscur M. Kabila
http://www.lexpress.[...]
1998-06-25
[7]
서적
Congo : the epic history of a people
[8]
웹사이트
Mfi Hebdo
https://web.archive.[...]
Rfi.fr
2009-07-06
[9]
뉴스
Laurent Kabila
http://www.economist[...]
[10]
서적
The fate of Africa : from the hopes of freedom to the heart of despair : a history of fifty years of independence
Public Affairs
2005
[11]
웹사이트
Mfi Hebdo
https://web.archive.[...]
Rfi.fr
2009-07-06
[12]
잡지
The suffering of Congo
https://web-b-ebscoh[...]
2000-09-01
[13]
서적
The World Today Series: Africa 2012
https://archive.org/[...]
Stryker-Post Publications
[14]
서적
The Troubled Heart of Africa: A History of the Congo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2002-12-18
[15]
웹사이트
Revealed: how Africa's dictator died at the hands of his boy soldiers
https://www.theguard[...]
2001-02-11
[16]
서적
Official SADC Trade, Industry, and Investment Review
https://books.google[...]
Southern African Marketing Company
[17]
뉴스
Glimpse of New President as Joseph Kabila Takes Oath in Congo
https://www.nytimes.[...]
2001-01-27
[18]
웹사이트
Murder in Kinshasa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Zone d'ombre autour d'un assassinat
http://www.france24.[...]
[20]
뉴스
DRC: Tshisekedi pardons those convicted in the killing of Laurent-Désiré Kabila
https://www.theafric[...]
2021-01-05
[21]
서적
A Survival Guide to Kinshasa: Lessons of the Father, Passed Down to the Son
Palgrave MacMillan
[22]
웹사이트
Les illusions africaines de Che Guevara
http://www.rfi.fr/Fi[...]
2007-10-02
[23]
뉴스
Kabila: saint or dictator? Zaire awaits its fate
https://www.independ[...]
인디펜던트
2002-04-04
[24]
서적
[25]
웹사이트
Profile: Laurent Kabila
http://news.bbc.co.u[...]
2001-01-17
[26]
서적
The Troubled Heart of Africa: A History of the Congo
St. Martin's Press
[27]
웹사이트
SADC Intervention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www.accord.or[...]
ACCORD
[28]
웹사이트
The Perfect Mark
http://www.newyorker[...]
2006-05-15
[29]
서적
A Survival Guide to Kinshasa: Lessons of the Father, Passed Down to the Son
Palgrave MacMillan
[30]
웹사이트
Les illusions africaines de Che Guevara
http://www.rfi.fr/Fi[...]
2007-10-02
[31]
서적
[32]
설명
[33]
웹사이트
Profile: Laurent Kabila
http://news.bbc.co.u[...]
2001-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